고지존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고지존

메뉴 리스트

  • 홈
  • 리눅스
  • 분류 전체보기 (52)
    • 리눅스 정보실 (43)

검색 레이어

고지존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리눅스 정보실

  • 리눅스 atop 설치 및 사용법 서버 성능 모니터링 최강 툴

    2025.09.22 by 고지존

  • 리눅스 에러 로그 확인과 문제 해결

    2025.09.12 by 고지존

  • Rocky Linux / RHEL / CentOS root 패스워드 분실 시 초기화

    2025.09.10 by 고지존

  • 리눅스 서버 해킹 당했을 때 pstree 명령어로 숨은 악성 프로세스 찾는 법

    2025.09.05 by 고지존

  • 지원 종료(EOL)된 CentOS 6에서 YUM 안될때 다시 사용하는 방법

    2025.09.04 by 고지존

  • 리눅스 비밀번호 강도 확인 방법 (system-auth 기준)

    2025.09.01 by 고지존

  • 리눅스 파일 찾기 완전 실무 가이드 find, locate, grep 활용법

    2025.08.31 by 고지존

  • 리눅스 서비스 관리 완벽 정리 systemctl과 service 차이

    2025.08.31 by 고지존

리눅스 atop 설치 및 사용법 서버 성능 모니터링 최강 툴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사용량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대부분은 top 명령어를 먼저 떠올리지만, top은 프로세스 중심이라 전체적인 자원 흐름을 보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강력한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atop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top 설치 방법부터 사용법, 그리고 실제 출력 화면을 해석하는 방법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왜 atop을 사용해야 할까?일반적인 top은 CPU와 메모리 사용량만 보여주지만, atop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별화됩니다.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사용량을 한눈에 확인 가능프로세스별 I/O, 디스크 쓰기·읽기, 네트워크 트래픽까지 추적 가능로그 저장 기능 제공 → 특정 시점의 서버 상태를 재현..

리눅스 정보실 2025. 9. 22. 18:34

리눅스 에러 로그 확인과 문제 해결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다양한 문제와 에러가 발생합니다. 웹 서버가 느려지거나 접속이 안 되고, 데이터베이스 연결 오류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실시간 로그 확인**, 단계별 분석, 판단 방법, 실제 예시까지 모두 포함해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실무 가이드를 제공합니다.1. 로그 파일 확인: 어디서 무엇을 볼까?문제 해결의 첫 단계는 로그 파일을 아는 것입니다. 주요 로그 파일과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var/log/syslog: 시스템 전반 메시지/var/log/messages: 커널 및 일반 시스템 메시지/var/log/auth.log: 인증 및 권한 문제/var/log/nginx/error.log 또는 /var/log/httpd/error_log: 웹 서버 에러/var/log/m..

리눅스 정보실 2025. 9. 12. 18:03

Rocky Linux / RHEL / CentOS root 패스워드 분실 시 초기화

Rocky Linux는 RHEL(Red Hat Enterprise Linux)을 기반으로 한 운영체제이므로, CentOS나 RHEL과 동일한 방법으로 루트(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GRUB 부트로더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패스워드를 초기화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본 매뉴얼은 Rocky 9.5에서 실습한 환경입니다.1. GRUB 메뉴 진입 및 수정먼저, 시스템을 재부팅하고 부팅 초기 화면(GRUB 메뉴)이 나타나면 키보드의 'e' 키를 눌러 부팅 스크립트 수정 모드로 진입합니다.2. 부팅 옵션 수정 (rd.break)GRUB 수정 화면에서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해 linux 로 시작하는 라인을 찾습니다. 해당 라인의 가장 끝으로 이동하여 한 칸 띄운 후 rd.b..

리눅스 정보실 2025. 9. 10. 16:35

리눅스 서버 해킹 당했을 때 pstree 명령어로 숨은 악성 프로세스 찾는 법

서버 관리자에게 시스템 해킹은 가장 긴급하고 중대한 위협입니다. 공격자는 침투 후 자신의 활동을 숨기기 위해 정상적인 시스템 프로세스인 것처럼 위장한 백도어나 악성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이때 단순히 ps 명령어로 프로세스 목록만 확인해서는 이상 징후를 놓치기 쉽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리눅스의 강력한 진단 도구인 pstree를 활용하여 프로세스 간의 부모-자식 관계를 분석하고, 교묘하게 숨어있는 악성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탐지하는 실전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pstree란 무엇인가? 왜 ps보다 강력한가?pstree는 이름 그대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트리(Tree) 구조로 시각화하는 명령어입니다. 모든 프로세스의 시작점인 systemd(또는 init)부터 어떤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를 파생시켰는지 한눈에..

리눅스 정보실 2025. 9. 5. 16:34

지원 종료(EOL)된 CentOS 6에서 YUM 안될때 다시 사용하는 방법

2020년 11월 30일, CentOS 6는 공식적으로 지원이 종료(End of Life, EOL)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기본 YUM 저장소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yum install 명령어 실행 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보관된 패키지 저장소인 CentOS Vault 저장소를 이용하면 YUM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상세히 안내합니다.1단계: YUM 없이 시스템 시간 설정하기 (가장 중요!)YUM 저장소에 접속하려면 서버의 시간이 현재 시간과 정확히 맞아야 합니다. 시간이 다를 경우 SSL 인증서 오류로 연결이 실패합니다. 하지만 YUM이 안 되니 `ntp` 패키지를 설치할 수도 없죠. 아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로 시간을 먼저 설정하..

리눅스 정보실 2025. 9. 4. 17:38

리눅스 비밀번호 강도 확인 방법 (system-auth 기준)

리눅스 비밀번호 강도 확인 방법 (system-auth 기준)리눅스 서버를 안전하게 운영하려면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보안 요소 중 하나는 사용자 비밀번호의 강도입니다. 약한 비밀번호는 공격자가 서버를 우회하는 가장 쉬운 경로가 되므로, 정기적으로 비밀번호 강도를 점검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Red Hat 계열 서버(CentOS, AlmaLinux, Rocky 등)에서 비밀번호 정책을 확인하고 읽기 전용으로 점검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1. 현재 비밀번호 정책 확인리눅스 서버에서 비밀번호의 강도를 확인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1) PAM 모듈 설정 점검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은 PAM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관리합니다. 다음 파일들에서 pam_pwquality.so 설정을 확인하면 현재..

리눅스 정보실 2025. 9. 1. 14:59

리눅스 파일 찾기 완전 실무 가이드 find, locate, grep 활용법

리눅스 서버 운영에서는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 매우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 핵심 기술이 바로 리눅스 파일 찾기 입니다. 단순히 파일 이름만 찾는 것이 아니라, 로그 분석, 설정 파일 점검, DB 디렉토리 확인 등 실무에서는 정확하고 효율적인 검색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리눅스 파일 찾기 방법과 실무 팁을 정리하였습니다.1. find 명령어 기본 사용find 명령어는 지정한 경로에서 조건에 맞는 파일을 검색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홈 디렉토리에서 test.txt 파일을 찾으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find ~ -name "test.txt"위 명령어는 리눅스 파일 찾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name ..

리눅스 정보실 2025. 8. 31. 18:13

리눅스 서비스 관리 완벽 정리 systemctl과 service 차이

리눅스 서버 운영에서 서비스 관리는 핵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ystemctl과 service 명령어 차이, 그리고 왜 어떤 서버에서는 둘 다 되거나 안 되는지까지 명확하게 설명합니다.1. 리눅스 서비스 관리란?리눅스 서비스 관리는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작업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웹 서버(Apache, Nginx), 데이터베이스(MySQL), SSH 서비스가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systemctl 또는 service 명령어로 제어합니다.2. systemctl과 service 차이systemctl vs service 차이는 단순히 명령어가 다른 것이 아니라, 내부 구조와 동작 방식이 다릅니다.2.1 역사적 차이service: SysV init 기반 스크립트를 실행 (/etc/ini..

리눅스 정보실 2025. 8. 31. 15:3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6
다음
TISTORY
고지존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