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고 복구하기 위해 e2fsck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윈도우의 CHKDSK와 유사한 기능으로, ext 계열 파일시스템(ext2, ext3, ext4)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체크디스크를 안전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e2fsck 명령은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된 상태에서 수행하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먼저 해당 디스크가 마운트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마운트된 경우 해제해야 합니다.
# umount /dev/sdb1
# umount /backup
만약 사용 중이라 언마운트가 되지 않는다면, 단일 사용자 모드 또는 라이브 시스템으로 부팅한 후 점검을 수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 /etc/fstab 주석 처리
시스템 재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되지 않도록 /etc/fstab
파일을 수정합니다. 관련 파티션 라인을 #
기호로 주석 처리해줍니다.
# vi /etc/fstab
#UUID=01rejhjr-45d2-75ea-br14-49k3kftge4e4 /backup ext4 defaults 1 2
이렇게 설정해두면, 실수로 재부팅 후 해당 디스크가 자동으로 마운트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제 안전하게 체크디스크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e2fsck -f /dev/sdb1
검사 중 오류가 발견되면 복구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습니다. yes
또는 y
로 응답하면 자동으로 복구가 진행됩니다.
자동으로 모든 오류를 수정하도록 설정하려면 -y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e2fsck -y /dev/sdb1
이 옵션은 상호작용 없이 모든 오류를 자동으로 수정하므로, 스크립트나 무인 복구 작업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검사가 완료되면 fstab 파일의 주석을 해제한 뒤 파티션을 다시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
# mount /dev/sdb1 /mnt/backup
정상적으로 마운트되면, 디스크 복구가 완료된 것입니다.
e2fsck
명령어는 간단하지만 강력한 도구이므로, 정기 점검을 통해 문제를 예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리눅스 사용자 계정 생성과 삭제 useradd userdel 명령어 (0) | 2025.07.05 |
---|---|
리눅스 디스크 상태 점검 방법 smartctl 명령어로 SMART 정보 분석하기 (0) | 2025.07.04 |
리눅스 계열(Ubuntu, CentOS 등) 버전 확인하는 실전 명령어 (0) | 2025.07.03 |
리눅스 SSH 세션 확인 및 종료 방법 (0) | 2025.07.02 |
리눅스 백업 방법 총정리 tar rsync cron 사용방법 (1)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