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운영이나 패키지 설치, 보안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현재 사용 중인 리눅스 배포판의 정확한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리눅스는 다양한 계열로 나뉘며, 각 계열에 따라 버전 확인 방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Ubuntu, CentOS, Rocky Linux, Debian 등 주요 리눅스 배포판에서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를 정리해 소개합니다.
cat /etc/os-release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버전 확인 명령입니다. 대부분의 현대 리눅스 배포판에서 이 파일이 존재합니다.
$ cat /etc/os-release
출력 예:
NAME="Ubuntu"
VERSION="22.04.4 LTS (Jammy Jellyfish)"
ID=ubuntu
ID_LIKE=debian
PRETTY_NAME="Ubuntu 22.04.4 LTS"
CentOS나 Rocky Linux에서도 비슷한 형식으로 출력됩니다.
lsb_release -a
Ubuntu, Debian 계열에서 권장되는 방법입니다.
$ lsb_release -a
출력 예:
Distributor ID: Ubuntu
Description: Ubuntu 22.04.4 LTS
Release: 22.04
Codename: jammy
만약 lsb_release
명령어가 없다면 다음으로 설치 가능합니다: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lsb-release
cat /etc/centos-release
CentOS나 RHEL 계열에서는 아래 명령어가 정확한 배포판 정보를 제공합니다.
$ cat /etc/centos-release
예시:
CentOS Linux release 7.9.2009 (Core)
이 외에도 다음 파일을 참조할 수도 있습니다.
/etc/redhat-release
/etc/system-release
uname -a
운영 체제의 커널 버전을 확인하고 싶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uname -a
출력 예:
Linux ubuntu 5.15.0-105-generic #115-Ubuntu SMP x86_64 GNU/Linux
이 명령은 리눅스 커널 정보를 보여주며, 배포판 정보까지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조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cat /etc/os-release
: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 가능lsb_release -a
: Ubuntu, Debian 계열에 적합cat /etc/centos-release
: CentOS, RHEL 전용uname -a
: 커널 버전 확인 용도리눅스 배포판과 버전 정보는 단순한 확인 작업처럼 보이지만, 시스템 유지보수나 호환성 확인, 보안 패치 적용 여부 판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다양한 환경에 맞춰 적절한 명령어를 숙지해 두면 실무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추후 글에서는 OS 버전에 따른 차이점, 지원 종료일(EOL) 확인 방법, 그리고 배포판 업그레이드 방법도 함께 다룰 예정입니다.
리눅스 디스크 상태 점검 방법 smartctl 명령어로 SMART 정보 분석하기 (0) | 2025.07.04 |
---|---|
리눅스 SSH 세션 확인 및 종료 방법 (0) | 2025.07.02 |
리눅스 백업 방법 총정리 tar rsync cron 사용방법 (1) | 2025.07.01 |
리눅스 서버 이전 작업 rsync 전체 백업 명령어와 사용법 정리 (0) | 2025.06.30 |
repquota로 리눅스 사용자 디스크 사용량 제한 및 실시간 확인 (0) | 202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