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존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고지존

메뉴 리스트

  • 홈
  • 리눅스
  • 분류 전체보기 (52)
    • 리눅스 정보실 (43)

검색 레이어

고지존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리눅스 su 명령어 암호 없이 로그인 설정 방법

    2025.07.07 by 고지존

  • 리눅스에서 체크 디스크 실행 방법 e2fsck 명령어

    2025.07.06 by 고지존

  • 리눅스 사용자 계정 생성과 삭제 useradd userdel 명령어

    2025.07.05 by 고지존

  • 리눅스 디스크 상태 점검 방법 smartctl 명령어로 SMART 정보 분석하기

    2025.07.04 by 고지존

  • 리눅스 계열(Ubuntu, CentOS 등) 버전 확인하는 실전 명령어

    2025.07.03 by 고지존

  • 리눅스 SSH 세션 확인 및 종료 방법

    2025.07.02 by 고지존

  • 리눅스 백업 방법 총정리 tar rsync cron 사용방법

    2025.07.01 by 고지존

  • 리눅스 서버 이전 작업 rsync 전체 백업 명령어와 사용법 정리

    2025.06.30 by 고지존

리눅스 su 명령어 암호 없이 로그인 설정 방법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시스템 관리자는 su 명령어를 통해 다른 계정, 특히 root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에 대해 su 명령어 사용 시 암호를 입력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u로 암호 없이 로그인을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1. PAM 설정 파일 편집먼저,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 설정 파일인 /etc/pam.d/su를 수정해야 합니다. root 권한으로 편집기를 실행합니다.vi /etc/pam.d/su파일에서 아래 항목을 찾아 주석을 해제하거나 추가합니다.auth sufficient pam_rootok...

리눅스 정보실 2025. 7. 7. 14:02

리눅스에서 체크 디스크 실행 방법 e2fsck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고 복구하기 위해 e2fsck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윈도우의 CHKDSK와 유사한 기능으로, ext 계열 파일시스템(ext2, ext3, ext4)을 대상으로 합니다.이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체크디스크를 안전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1. 마운트 해제는 필수e2fsck 명령은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된 상태에서 수행하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먼저 해당 디스크가 마운트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마운트된 경우 해제해야 합니다.# umount /dev/sdb1# umount /backup만약 사용 중이라 언마운트가 되지 않는다면, 단일 사용자 모드 또는 라이브 시스템으로 부팅한 후 점검을 수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2. /etc/f..

리눅스 정보실 2025. 7. 6. 18:46

리눅스 사용자 계정 생성과 삭제 useradd userdel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을 관리하다 보면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거나 기존 계정을 삭제해야 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다중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서버 환경에서는 정확하고 안전한 계정 관리는 필수입니다.이 글에서는 useradd, passwd, userdel 명령어를 이용해 리눅스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실습 예제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1. 새로운 사용자 계정 생성하기사용자를 추가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useradd user위 명령은 이름이 user인 새 계정을 생성하며, 홈 디렉터리 /home/user도 자동으로 생성됩니다.다음으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passwd user입력 후 비밀번호를 두 번 입력하면 계정이 활성화됩니다. 예시 출력은 다음과 같..

리눅스 정보실 2025. 7. 5. 19:14

리눅스 디스크 상태 점검 방법 smartctl 명령어로 SMART 정보 분석하기

서버나 NAS, 혹은 일반 리눅스 시스템에서 하드디스크(HDD)나 SSD의 고장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시스템 다운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리눅스에서는 smartctl 명령어를 통해 저장 장치의 SMART(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출력 예제를 바탕으로 SMART 항목을 해석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1. smartctl 명령어 기본 사용법smartmontools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다음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yum install smartmontools # RHEL 계열# apt install sm..

리눅스 정보실 2025. 7. 4. 18:11

리눅스 계열(Ubuntu, CentOS 등) 버전 확인하는 실전 명령어

서버 운영이나 패키지 설치, 보안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현재 사용 중인 리눅스 배포판의 정확한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리눅스는 다양한 계열로 나뉘며, 각 계열에 따라 버전 확인 방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Ubuntu, CentOS, Rocky Linux, Debian 등 주요 리눅스 배포판에서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를 정리해 소개합니다.1. 공통 명령어: cat /etc/os-release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버전 확인 명령입니다. 대부분의 현대 리눅스 배포판에서 이 파일이 존재합니다.$ cat /etc/os-release출력 예:NAME="Ubuntu"VERSION="22.04.4 LTS (Jammy Jellyfish)"ID=ubuntuID_LIKE=debian..

리눅스 정보실 2025. 7. 3. 19:24

리눅스 SSH 세션 확인 및 종료 방법

리눅스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접속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SSH 세션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서버를 원격으로 관리할 때는 누가 접속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필요 시 세션을 안전하게 종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SSH 세션 확인부터 비정상 세션 종료까지,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예제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1. 접속자 확인w 명령어w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목록과 세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w예시 출력: 16:42:12 up 1:26, 3 users, load average: 0.00, 0.00, 0.00 USER TTY LOGIN@ IDLE JCPU PCPU WH..

리눅스 정보실 2025. 7. 2. 17:53

리눅스 백업 방법 총정리 tar rsync cron 사용방법

리눅스 운영 환경에서는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백업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서버나 업무 시스템에서는 예기치 못한 장애에 대비해 정기적인 백업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널리 사용되는 tar, rsync, cron을 활용한 백업 방법을 총정리합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명령어 설명과 함께 실전 예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1.백업의 기본 개념백업(Backup)은 중요한 데이터를 복사해 두는 작업입니다. 리눅스에서는 명령어 기반으로 백업을 자동화하거나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어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백업의 주요 목적시스템 장애나 삭제 사고에 대비한 데이터 복구업데이트나 패치 전 상태 보존법적 또는 정책적 보관 목적2. tar 명령어로 백업하기tar는 파일..

리눅스 정보실 2025. 7. 1. 16:32

리눅스 서버 이전 작업 rsync 전체 백업 명령어와 사용법 정리

리눅스 서버를 신규 환경으로 이전할 때, 기존 서버의 전체 파일 시스템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복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작업은 단순한 파일 백업이 아니라, 퍼미션, 소유권, 하드링크, ACL 등 시스템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복사해야 합니다. 이런 작업에 적합한 도구가 바로 rsync입니다.rsync 설치가 안되어있어 실행전 yum install rsync 실행 후 설치 진행 하였습니다.설치 진행 후 정상적으로 실행되는것을 확인 했습니다.1. 서버 이전용 rsync 명령어rsync -aAXHv --numeric-ids \--exclude={"/boot","/etc/fstab","/etc/sysconfig/networking","/etc/sysconfig/network-scripts","/dev",..

리눅스 정보실 2025. 6. 30. 19:4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 4 5 6 7
다음
TISTORY
고지존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